오늘은 Article 6의 내용을 확인 해 보겠습니다. 원문 및 해석은 우리은행 사이트를 참조 했습니다. [Article 6] Availability, Expiry Date and Place for Presentation[제6조] 이용가능성, 유효기일 그리고 제시장소 a. A credit must state the bank with which it is available or whether it is available with any bank. A credit available with a nominated bank is also available with the issuing bank.a. 신용장은 그 신용장이 이용가능한 은행을 명시하거나 모든 은행에서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명시하여야 한다.지정은행에서 ..
오늘은 Article 4~5의 내용을 확인 해 보겠습니다. 원문 및 해석은 우리은행 사이트를 참조 했습니다. [Article 4] Credits v. Contracts[제4조] 신용장과 원인계약 a. A credit by its nature is a separate transaction from the sale or other contract on which it may be based. Banks are in no way concerned with or bound by such contract, even if any reference whatsoever to it is included in the credit. Consequently, the undertaking of a bank to honour, ..
오늘은 Article 3의 내용을 확인 해 보겠습니다. 원문 및 해석은 우리은행 사이트를 참조 했습니다. [Article 3] Interpretations[제3조] 해석 For the purpose of these rules:이 규칙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Where applicable, word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plural and in the plural include the singular.적용 가능한 경우, 단수의 단어는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단어는 단수의 단어를 포함한다. A credit is irrevocable even if there is no indication to that effect.신용장은 취소불능이라는 표시가 없더라도 취소가 불가..
UCP 600을 한국에 계신 분들의 입장에서 쉬운 말로 풀어서 '해설'해 볼까 합니다. '해설'이 아닌 '해석'은 우리은행 사이트를 참조 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 중에서 신용장이 뭔지 아시는 분과 모르시는 분이 같이 있으실거라 생각 하는데 신용장이 뭔지 간단히 설명 하고 넘어 가겠습니다. 신용장은 은행에서 내건 조건이 적힌 서류입니다. 은행이 수요가 대신에 서류를 심사하고 돈을 주기 때문에 은행에서 이것 저것 조건을 내걸죠. 대부분의 조건들이 오퍼 - 펌오퍼 - 계약서를 지나 오면서 수요가와 미리 합의가 된 내용들이 들어 가구요, 거기에 조금 더 추가해서 은행에서 내거는 조건 들이 들어 갑니다. 그런데 은행에서 물건도 보지 못한 채 돈을 주는데 순순히 돈을 내줄리 없겠죠? 그래서 유일하게 가지고 있..
무역 계약이 하나 맺어 지기 위해서는 많은 전화들과 이메일들, 그리고 출장, 정보 확인들이 밑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기회가 딱 왔을 때 모든 조건들이 들어 맞을 때 계약 하나를 꿰찰 수 있게 되는거죠. 어느정도 조건들이 맞아 진다 싶으면 딜을 만들기 위해 오퍼를 보내게 되죠.오퍼를 보내는 상황은 반드시 저쪽에서 살거라고 생각 되어서 보내는건 아닙니다. 오퍼를 보낸다는 것의 의미는1. 지금까지 협의한 조건들을 정리하는 데 있습니다. 한번 정리해 보면서 생각한 것과 다르게 서로가 이해하고 있는 조건들을 맞추게 되는거죠.2. 이쪽의 진지함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거래 경험이 없거나 얼마 되지 않은 관계일 경우 '가격만 던지다 가는' 뜨내기 트레이더가 아니라 '진지하게 거래 할 생각이 있다'는 것을 보여..
오늘은 OAP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OAP란 Over Age Premium의 줄임 말입니다.쉽게 말하자면, 정해진 나이가 넘으면 벌금(?)을 내야 한다는거죠.정확히 벌금이라고 하긴 그렇지만... 예를 들어 설명 해 보겠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구매한 석탄을 태국의 수요가에게 판매 했습니다.계약 조건은 FOB 구매 - CFR 판매일 때우리는 배를 인도네시아 선적항에 갖다 대야 하겠죠. 그런데 아무 배나 갖다 댈 수 없습니다.반드시 수요가의 허락을 받아야 하죠.CFR 조건에서 보험 가입을 하는건 수요가이고수요가는 그 배를 사용해도 되는지에 대해 보험사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문제가 생기면 보험사가 책임을 지니 허락도 보험사가 해야 하는거지요. 그런데 배가 나이가 많으면 보험사에서 싫어 합니다.사..
무역 용어 중에서 자주 혼동을 일으키며 실무자들도 잘못 쓰는 경우가 종종 있는 용어를 정리 하고자 한다. 배에 물건을 싣고 내리는 경우에 선적 - 양하한다 라는 표현을 쓴다. 선적(船積)의 경우 한자 의미 그대로 '배에 짐을 싣는다'는 의미이다.그리고 양하(揚荷)는 '화물을 들어 땅에 내리다'라는 의미로 배(혹은 다른 운송수단)에서 짐을 내린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종종 양하와 혼동하여 사용하는 용어가 하역(荷役)이다.하역이란 '화물을 부린다'라는 의미로 짐을 싣고 내리는 행위가 모두 의미에 포함 되어 있으나, 많은 사람들이 '아래 하(下)'로 한자를 잘못 알고 짐을 내리는 행위만 포함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양하 = 하역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오해를 바로 잡기 위해 정리하자면 [..
이 내용은 Indian Journal of Fertilizer에 게재된 Nutrient Management in Fruit Crops의 내용 번역을 원문과 함께 올린 것입니다. 어려운 단어가 많아 번역이 쉽지 않네요. 그래도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조 하시길... Fruits crops by the virtue of their nutritional qualities have already emerged as a major alternative, cutting short themenacing load on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monotonous cereal/tuber crop-based diet. Nutrient managementbased production system..
최근 이 사례로 문제가 되어 UCP와 ISBP를 번갈아 뒤적이며 연구 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신용장에서 요구 하더라도 Clean on Board라는 내용 대신 Shipped on Board를 찍더라도 하자가 아니다"라는 내용입니다. 무역을 하다 보면, 신용장을 다루다 보면 문구 하나 하나에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신용장의 특징 중 하나인 엄밀 일치의 원칙(Doctrine of Strict Compliance) 때문입니다. 비록 오탈자가 신용장의 하자(discrepancy)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네고서류를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오탈자, 마침표 하나 차이라도 없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합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가장 신경이 쓰이는 부분은 BL의 Cl..
무역 절차를 처음 배우면서 청약(Offer) - 반대청약(Counter offer) - 승낙(Acceptance) 등의 말을 배우게 된다. 무역 계약을 맺기 위해서 앞의 과정들을 거친 다음 나오는 과정이 무엇인가? 바로 계약서이다. 계약을 맺고 다음 과정으로 선적, 대금 청구, 대금 지급 등이 이어진다. 하지만 서면 확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곳은 많지 않다. 하지만 많은 수의 계약이 구두 확인(Verbal confirmation)에서 서면확인(Written confirmation)을 간과한 채 계약서 작성의 단계로 넘어 갔다가 어그러 지는 경우가 발생 한다. 물론 Verbal confirmation도 승낙의 한 종류로 효력을 발휘 한다고 하지만 우리가 사는 이 real world에서 서면확인이 없이 계약..